복습]Social Capital

복습]Social Capital 카테고리 없음 2012. 11. 11. 12:53

1. Key points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이란 무엇인가? 사회적 자본은 어떻게 구성되며, 어떤 function을 하는가? 사회적 자본의 Form은 무엇이고, 왜 때로는 합리적인 행위자도 이 안에서 의무(obligation)감을 형성하는가? 사회적 자본은 어떤 성격을 가지는가? 그리고 그 유지와 생성, 파괴과정과 원인은 무엇인가? Coleman은 사회적 자본이 지닌 다양하고 다면적인 기능과 성질에 주목하면서, 신고전주의 경제학자들이 그동안 주장해온 경제적 인간의 일반행위(homo economicus)라는 관점을 뛰어넘고자 한다. 그는 network를 비롯한 다양한 사회적 관계의 기능에서 발현한 (경제와 사회속에 embedded시켜놓은 개념에서 착안했을 때) 사회적 자본의 기능이 무엇인지 연구했다.

2. Thoughts

A. 사회적 자본은 관계맺음과 상호작용으로 생성된 사회조직(Social organization)에 포함되어있다. 즉, 사회적자본은 일정한 사회구조를 포함하며, 그 구조의 구성원들의 행동을 규율하는 속성을 지닌다. 이러한 사회적 자본은 그것이 존재하지 않거나, 혹은 획득하고자 하는 가치의 cost가 높을 때보다 가격을 낮추는 등 사회경제적 효율성을 발휘하는 기능(function)을 한다. 의무와 기대, 정보획득 , 규범과 도덕적 구속력, 권력 등은 사회적 자본의 form에 해당한다. 이러한 요소들은 집단과 집단 사이의 차이를 생성하기도 하며, 다른 집단에 영향력을 주거나 파괴되기도 한다. B. 그동안 많은 경제사회학자들이 피력해온 embedded된 social relationship에 착안하여, 사회적 관계가 갖고 있는 사회경제적 기능에 주목하고, 사회적 자본이 가진 기능을 정리했다는데에 의의가 있다. C. 사회적 자본은 인간의 행위가 특정한 사회집단안에서 규율 혹은 embedded되었기 때문에 기능할 수 있다. 일정한 신뢰와 Solidarity로 엮인 관계는 집단이 지닌 사회적 자본의 기능을 더욱 강화시켜주기도 하며, 당장의 의도된 경제적 이익을 가져오지 않더라도 부가적인 효과를 가져오기도 한다.(ex. 밤길의 치안, Korean rationalist) 이러한 속성은 공공재로서의 사회적 자본을 낳는다. 사회적 자본은 인간관계와 사회구조적 속성으로 구성된 개념이기 때문에, 그 생성과 지속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관계가 얼마나 closure되어있는지, 얼마나 견고한지, 그리고 그 안에서 작동하는 이데올로기가 얼마나 강한지의 여부이다.

Posted by 시봉
하단 사이드바 열기

BLOG main image